맨위로가기

발렌티누스 (영지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렌티누스는 2세기 중반에 활동한 영지주의 사상가로, 나일 삼각주의 프레보니스에서 태어나 알렉산드리아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는 알렉산드리아에서 헬레니즘 철학과 유대교 문화에 정통했으며, 바울의 가르침을 계승했다고 주장했다. 발렌티누스는 로마에서 활동하며 발렌티누스주의라는 영지주의 학파를 창시했다. 발렌티누스주의는 우주론, 삼위일체론 등 독자적인 교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후 로마 제국 전역으로 퍼져 나갔다. 그의 사상은 이레나이우스, 테르툴리아누스 등 기독교 교부들의 비판을 받았으며, 나그함마디 문서 발견으로 발렌티누스주의 연구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다.

2. 생애

발렌티누스는 나일 삼각주의 프레보니스(Phrebonis)에서 태어나 알렉산드리아에서 교육을 받았다.[32]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는 발렌티누스가 이집트 해안 지역 "프레보니테"에서 태어나, 대도시였던 알렉산드리아에서 그리스 교육을 받았다고 기록했다.[6][7] "프레보니테"는 다른 곳에서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아마도 현재의 티다 근처에 있는 고대 도시 프라고니스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9][10]

그는 알렉산드리아에서 교육을 받으며 성장하였으며, 이후 교육과 로마에서의 활동, 사망에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2. 1. 교육

알렉산드리아에서 바실리데스의 가르침을 접하고, 헬레니즘 중기 플라톤 철학과 필론의 사상에 정통하게 되었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는 발렌티누스가 테우다스의 제자였으며, 테우다스는 사도 바울의 제자였다고 기록했다.[37] 발렌티누스는 테우다스를 통해 바울이 비밀리에 가르쳤던 지혜를 전수받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바울의 이 비밀 지혜(로마서 16:25; 고린도전서 2:7; 고린도후서 12:2-4; 사도행전 9:9-10)는 바울이 대중들에게 공개적으로 언급하였던 부활한 크라이스트를 만나는 비전적인 체험과 관련되어 있다고 하였다.[38]

2. 2. 로마에서의 활동과 사망

발렌티누스는 교황 히지노 재위 기간인 136년경 로마로 가서 교황 아니체토 재위 때까지 머물렀다.[32] 테르툴리아누스는 저서 《발렌티누스주의에 대한 반박(Adversus Valentinianos)》 4장에서 발렌티누스가 주교가 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다른 사람이 주교로 선출되자 참된 신앙의 교회[39]와 결별하고 이단으로 전향했다고 주장했다.[14] 그는 발렌티누스가 비범하고 설득력 있는 능력을 가졌지만, 박해 중에도 신앙을 고백한 다른 사람이 주교로 선출되었다고 언급했다. 이에 발렌티누스는 야망과 복수심에 불타 진리[40]를 끊어버리고 뱀[41]의 간교함으로 자신의 길을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는 발렌티누스가 키프로스에서 난파를 겪고 정신 이상이 된 후 영지주의자가 되었다고 기록했다.[15] 에피파니우스는 키프로스에 발렌티누스 공동체가 존재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생각을 하게 되었을 수도 있다.

발렌티누스는 160년 또는 180년경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32]

3. 발렌티누스주의

발렌티누스주의는 발렌티누스에게서 기원한 나스티시즘 철학 학파이다. 로마 제국 전역으로 퍼져 나갔으며, 기독교 이단 연구가들이 나스티시즘을 반대하는 많은 글을 쓰게 하는 촉발제가 되었다. 주요 발렌티누스주의자로는 헤라클레온, 프톨레마이오스, 플로리누스, 마르쿠스, 악시오니쿠스가 있었다.

발렌티누스는 자신의 사상이 사도 바울의 제자였던 테오다스(테우다스)에게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신약성경 내용을 자유로이 인용하였으며, 다른 나스틱 체계들과 달리 이원론이 아닌 일원론적 체계를 전개하였다. (단, 이원론적 용어를 사용함) 엘레인 파겔스는 '발렌티누스주의는 [...] 이원론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라고 하였고,[42] 쉬오에델은 '발렌티누스주의와 이와 유사한 나스틱파들의 교의를 해석함에 있어서 표준이 되는 요소는 이들이 근본적으로 일원론에 속한다는 인식이다'라고 하였다.[43]

발렌티누스는 생전에 많은 제자를 만들었고, 그의 체계는 모든 형태의 영지주의 중에서 가장 널리 퍼졌다.

3. 1. 우주론

발렌티누스주의 문헌에서는 만물의 근원을 바이토스(Bythos)라고 불리는 원초 존재로 묘사하고 있다. 바이토스는 오랜 침묵과 관조의 시간 후, 발출(emanation)이라는 과정을 통해 다른 존재들을 현현하기 시작하였다. 이들 중 첫 번째 그룹은 이언(aeons)들이었으며, 총 30명의 이언들이 15쌍의 시즈지(syzygies), 즉 상호 보완적인 음양의 쌍을 이루고 있었다.[44]

최하위 이언 중 하나인 소피아(Sophia)의 실수와 사클라(Sakla)의 무지로 인해, 물질에 속박된 하위 세계가 나타나게 되었다. 하위 세계의 가장 고급한 존재인 인간은 영적, 생명적, 물질적 본성 중 하나를 가진다. 그리고 구원은 하위 세상에 속박된 영적 본성을 해방시키는 것이며, 이것이 예수 크라이스트와 성령의 임무였다.[44]

발렌티누스의 그리스도론(Christology)에 따르면, 예수 크라이스트는 지상에 있는 동안 초자연적인 몸을 가지고 있었으며, 고난을 겪지 않았다. 예를 들어,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에 따르면, 예수 크라이스트의 몸은 배변을 필요로 하지 않는 "부패하지 않는 몸"이었다.[44]

3. 2. 삼위일체론

4세기 앙카라의 마르켈루스는 (Godhead, 하나님)이 3가지 하이포스타시스(숨겨진 영적 실체)로서 존재한다는 삼위일체 개념이 플라톤으로부터 발렌티누스의 가르침을 통해 온 것이라고 주장하였다.[45] 마르켈루스는 발렌티누스가 성부(Father), 성자(Son), 성령(Holy Spirit)이라 불리는 3가지 하이포스타시스와 3가지 프로소폰(인격)이라고 가르쳤다고 말했다.[46]

나그함마디 문서에서 발견된 세트파 문헌인 《트리모르픽 프로테노이아(Trimorphic Protennoia)》[48]에서는 나스티시즘(Gnosticism)을 아버지(Father), 아들(Son), 그리고 여성적 존재로서 지혜를 의미하는 소피아(Sophia)의 삼위일체를 고백하는 믿음, 또는 존 디 터너 교수에 따르면, 아버지로서의 (God the Father), 어머니로서의 소피아(Sophia the Mother), 아들로서의 로고스(Logos the Son)의 삼위일체를 고백하는 믿음이라고 정의하였다.

4. 발렌티누스에 대한 비판

이레나이우스는 저서 《이단적 교의들에 대한 반박(Adversus Haereses)》에서 발렌티누스의 가르침에 대해 과장되고 부정적인 관점을 취했으며, 이 책의 총 5권 중 제 1권 대부분을 이 내용으로 채웠다.[49] 테르툴리아누스는 《발렌티누스주의에 대한 반박(Adversus Valentinianos)》에서 발렌티누스를 비판했는데, 현대 학자 엠 티 라일리(T M. T. Riley)는 이 책이 이레나이우스의 저서 일부를 재번역한 것일 뿐 나스틱파 원전을 추가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49]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도 저서에서 발렌티누스를 비판했다(《Haer.》, XXXI).[25]

5. 진리의 복음서

1945년 나그함마디 문서가 발견되면서 발렌티누스 연구에 새로운 장이 열렸다. 나스티시즘에 속한다고 분류된 여러 저작들 중에 발렌티누스와 관련될 수 있는 일련의 저작들이 있었는데, 특히 《진리의 복음서》라 불리는 콥트어 문헌이 있었다. 이 문헌은 이레나이우스가 발렌티누스의 저작이라고 말했던 책과 제목이 같다.[50]

진리의 복음서》는 아버지 하느님()의 알려지지 않은 이름을 발표하고 있다. 이 문헌에 따르면 이 이름은 아는 자로 하여금 모든 창조된 만물들을 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무지의 베일을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권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예수 크라이스트가 추상적인 요소들의 언어로 이루어진 다양한 수단들을 통해 이 이름을 밝혔다고 말하고 있다.[26]

《진리의 복음》에 언급된 아버지의 이름은 신비롭지 않다. 텍스트에는 "아버지의 이름은 아들이다"라고 명시되어 있다.[27] 이 텍스트의 가장 중요한 주제는 "아들"을 통해 기독교 신자들이 "아버지"와 하나가 됨을 계시하는 것이며, "충만함"과 "안식"이라는 단어로 특징지어지는 새로운 삶의 경험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아버지께서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필요가 생겨났으니, 아버지를 알게 되면 그 순간부터 더 이상 필요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28] 라는 것이 이 텍스트의 주요 주장이다. 그 어조는 신비주의적이고 언어는 상징적이며, 요한복음서에서 발견되는 어조와 주제를 연상시킨다.[29] 또한 솔로몬의 노래와 매우 놀라운 언어적 유사성을 보인다.[30] 다른 많은 나그함마디 문서에서 발견되는 신, 유출, 또는 천사에 대한 특이한 이름이 눈에 띄게 부족하다. 그 접근성은 '새로운 신약'과 같은 경건한 편집물에 포함되면서 새롭게 인기를 얻는 결과로 이어졌다.[31]

참조

[1]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 문서 "Adversus Valentinianos'' 4."
[3] 서적 Paul and Gnosis Brill Publishers
[4] 웹사이트 "The Tripartite Tractate", §14 http://gnosis.org/na[...]
[5] 웹사이트 Irenaeus, Adversus Haeresies i. 6 https://en.wikisourc[...]
[6] 서적 The Panarion of Epiphanius of Salamis, Book I (Sections 1–46) Brill
[7] 문서 ἔφασαν γὰρ αὐτόν τινες γεγενῆσθαι Φρεβωνίτην, τῆς Αἰγύπτου Παραλιώτην, ἐν Ἀλεξανδρείᾳ δὲ πεπαιδεῦσθαι τὴν τῶν Ἑλλήνων παιδείαν.
[8] 서적 A Literary History of Early Christianity: Including the Fathers and the Chief Heretical Writers of the Ante-Nicene Period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 1893
[9] 서적 The Expansion of Christianity: A Gazetteer of its First Three Centuries Brill 2003
[10] 서적 Valentinus Gnosticus? J. C. B. Mohr (Paul Siebeck) 1992
[11] 간행물 Three North Delta Nomes https://zenodo.org/r[...] Macmillan and Company 1904
[12] 웹사이트 Stromateis, book 7, chapter 17 http://www.tertullia[...] Clement of Alexandria
[13] 문서 The article [[esoteric Christianity]] focuses on Early Modern and modern esoteric Christian revivals.
[14] 서적 Christianity in Ancient Rome: The First Three Centuries
[15] 서적 Epiphanius of Cyprus: A Cultural Biography of Late Antiquity
[16] 인용 'Valentinian gnosticism ... differs essentially from dualism' ([[Elaine Pagels]], ''The Gnostic Gospels'', 1978); 'a standard element in the interpretation of Valentinianism and similar forms of Gnosticism is the recognition that they are fundamentally monistic' (William Schoedel, 'Gnostic Monism and the Gospel of Truth' in ''The Rediscovery of Gnosticism, Vol.1: The School of Valentinus'', edited by Bentley Layton, E.J. Brill, Leiden, 1980).
[17] 웹사이트 Against All Heresies: Valentinus, Ptolemy and Secundus, Heracleon (Book I, Chapter 4)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18] 문서 Clement, Stromateis 3.59.3 translated B. Layton p. 239.
[19] 간행물 Marcellus of Ancyra (Pseudo-Anthimus), 'On the Holy Church':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Verses 8-9. 2000-04
[20] 문서 Marcellus, in Logan 2000:95
[21] 문서 Irenaeus, Against Heresies, 1.1.1-3
[22] 웹사이트
[23] 웹사이트 Against Heresies, 1.7.5 http://www.newadvent[...]
[24] 문서 Eusebius, Against Marcellus, Book I
[25] 웹사이트 M.T. Riley http://www.tertullia[...]
[26] 문서 Irenaeus, Adversus Haereses 3.11.9.
[27] 문서 See The Gospel of Truth 23:1, Hal Taussig, ed., A New New Testament: A Bibl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Boston-New York: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3).
[28] 문서 See Gospel of Truth 10:11, Hal Taussig, ed., A New New Testament: A Bibl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Boston-New York: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3)
[29] 문서 Compare GofT 1:1 with John 1; GofT 8:10 with John 3:7-8; GofT 10:10 with John 17:21-23; GofT 10:11 with John 17:1-3; GofT 14:5 with John 15:1-6; GofT 16:7 with John 1; GofT 27:6 with John 14:10; GofT 27:8 with John 15:1-6; Hal Taussig, edl, A New New Testament (Boston-New York: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3)
[30] 문서 Compare GofT 2:2 with Ode 16:18; GofT 2:8 with Ode 22:1; GofT 5:1 with Ode 3:6-8; GofT 5:2 with Ode 3:2; GofT 6:1 with Ode 23; GofT 6:11 with Ode 15:8; GofT 10:8 with Ode 19:1-5; GofT 10:12 with Ode 14:10; GofT 21:8 with Ode11; GofT 21:9 with Ode 9:3; GofT 22:4-7 with Ode 24:8; GofT 23:8&9 with Ode 26; GofT 23:10 with Ode 23:1-3; GofT 27:2 with Ode 19:1-2; GofT 27:4 with Ode 3:5; Hal Taussig, ed. A New New Testament (Boston-New York: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3)
[31] 서적 A New New Testament: A Bibl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3
[32] 서적 The Elements of Gnosticism Element Books Limited 1994
[33] 문서 당시 로마의 주교(Bishop of Rome)는 지금의 교황(pope)에 해당한다.
[34] 문서 테르툴리아누스, 《발렌티누스주의에 대한 반박(Adversus Valentinianos)》, 4.
[35] 서적 옥스포드 기독교 교회 사전(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36] 서적 이단적 교의들에 대한 반박
[37] 웹사이트 Stromateis, book 7, chapter 17 http://www.tertullia[...]
[38] 웹사이트 Esoteric Christianity(기독교 밀교) https://en.wikipedia[...]
[39] 문서 로마 가톨릭 교회
[40] 문서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의
[41] 문서 사탄
[42] 서적 The Gnostic Gospels
[43] 서적 'Gnostic Monism and the Gospel of Truth' in "The Rediscovery of Gnosticism, Vol.1: The School of Valentinus" E.J.Brill
[44] 서적 Stromateis
[45] 간행물 "Marcellus of Ancyra (Pseudo-Anthimus), 'On the Holy Church':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Verses 8-9." 2000-04
[46] 문서 in Logan 2000:95
[47] 웹사이트 Early Christian Writings: Valentinus http://earlychristia[...]
[48] 문서 트리모르픽 프로테노이아
[49] 웹사이트 M.T. Riley http://www.tertullia[...]
[50] 서적 이단적 교의들에 대한 반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